본문 바로가기

역사-사회-문화316



'부산' 지명은 무슨 뜻일까? (부산 지명 유래, 부산 이름 유래) 부산의 지명은 크게 두 가지 설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설은 부산의 지명이 가마솥 모양의 산에서 유래했다는 설입니다. 동래부읍지(1757)에는 "부산은 동평현에 있다. 산이 가마솥 모양과 같아 이렇게 이름지었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설에 따르면, 부산의 지명은 증산(甑山)의 모양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증산은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있는 산으로, 가마솥 모양의 산봉우리가 특징입니다. 두 번째 설은 부산의 지명이 부자라는 뜻에서 유래했다는 설입니다. 세종실록지리지(1454)에는 "부산포(釜山浦)는 동래현에 있다. 바다를 낀 해안에 산이 많아 '부(富)'자를 썼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설에 따르면, 부산의 지명은 부산포의 풍요로운 자연환경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부산포는 예로부터 바다.. 2024. 1. 11.
모텔(Motel)은 왜 만들어졌을까? (모텔 뜻) 모텔은 자동차 여행자들을 위한 숙박 시설로, 미국에서 처음 만들어졌습니다. Motel은 영어 단어로, 주로 자동차 여행자들을 위한 객실이나 방의 단위로 구성된 숙박 시설을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각 방은 별도의 차고 문 혹은 주차 공간과 직접 연결되어 있어 차량 이동이 편리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여기 Motel이라는 단어의 유래를 더 알아보면, 처음에는 Motor Hotel 이라는 말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자동차가 대중화되기 시작하는 1920년대 미국에서 등장한 숙박 시설 형태로 자동차를 이용하는 여행자들의 수요에 부응하여 만들어졌습니다. 1908년 미국 애리조나주에 위치한 한 목조 주택이 모텔의 효시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주택은 자동차 여행자들이 하룻밤 50센트에 숙박할 수 있는 곳으로, 당시에는 매.. 2024. 1. 10.
제사음식은 왜 홀수로 올릴까? (제사상 음식 홀수) 제사 음식을 홀수로 놓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홀수는 길하다고 여겨졌기 때문입니다. 홀수는 짝수보다 더 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에, 조상들에게 더 많은 복과 행운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여겨졌습니다. 음양의 조화를 맞추기 위해서입니다. 홀수는 양을 상징하고, 짝수는 음을 상징합니다. 따라서 홀수의 음식을 올리면 양과 음이 조화를 이루고, 조상들에게 더 좋은 기운이 전해질 것이라고 여겨졌습니다. 구체적으로, 제사 음식의 숫자는 다음과 같이 정해져 있습니다. 밥과 국은 1그릇씩 올립니다. 이는 조상님들이 밥을 먹고 국을 마시며 제사를 받으신다는 의미입니다. 고기는 3, 5, 7, 9 등 홀수로 올립니다. 이는 조상님들이 하늘과 땅, 그리고 인간을 상징하는 음식을 드신다는 의미입니다. 과일.. 2024. 1. 10.
'수원' 지명은 무슨 뜻일까? (수원 지명 유래, 수원 이름 유래) 수원(水原)이라는 지명은 '물고을'이라는 뜻입니다. 수원시의 옛 이름은 '매홀(買忽)', '수성(水城)', '수주(水州)' 등으로, 모두 '물'이라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수원의 지명은 삼국시대부터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고구려는 5세기 말엽 한강 유역을 점유하고 있던 고구려가 매홀(買忽)이라는 마을을 설치하였다고 합니다. 매홀은 '물골' 또는 '미골'로 발음되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고려시대에는 매홀이 수성(水城)으로 승격되었고, 조선시대에는 수주(水州)로 개칭되었습니다. 1271년(원종 12)에는 수원도호부가 설치되면서 '수원'이라는 지명이 처음 등장하였습니다. 수원이라는 지명은 수원천, 장안천, 원천 등의 하천이 흐르고, 화성행궁, 팔달산, 광교산 등의 산지가 위치한 지.. 2024. 1. 10.
영어의 알파벳은 누가 만들었을까요? (알파벳 만든 사람) 영어 알파벳은 페니키아인이 만들었습니다.페니키아인은 기원전 1200년경부터 지중해 연안에 살았던 민족으로, 뛰어난 상인과 해양 민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페니키아인들은 문자를 이용하여 무역과 상거래를 하는 데 큰 도움을 받았습니다. 페니키아 알파벳은 22개의 문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이 중 22개의 문자는 모두 자음으로, 모음은 없었습니다.페니키아인들은 자음을 이용하여 단어를 표기하였고, 모음은 발음과 맥락으로 유추하여 알아냈습니다. 페니키아 알파벳은 시간이 흐르면서 지중해 연안의 다른 민족들에게 전파되었습니다.그리스인들은 페니키아 알파벳을 받아들여 모음을 추가하였고, 로마인들은 그리스 알파벳을 받아들여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영어 알파벳의 기본이 되는 로마 알파벳을 만들었습니다. 따라서, 영어 알파벳은 .. 2024. 1. 9.
제주도는 왜 여자가 많을까? (제주도 여성이 많은 이유, 삼다도) 제주도가 여자가 많은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째, 남성의 사망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제주도는 섬으로 둘러싸여 있어 육지보다 해상 사고의 위험이 높습니다. 또한, 과거에는 어업 활동이 주된 생업이었기 때문에 남성들이 해상에서 일하다가 사고로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둘째, 남성의 타지 유출이 많기 때문입니다. 제주도는 육지보다 경제적 기회가 적기 때문에, 남성들이 타지로 일자리를 찾아 떠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젊은 남성들이 타지로 유출되는 경향이 강합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제주도에는 여자가 많은 성비가 형성되었습니다. 구체적인 통계를 살펴보면, 2023년 기준 제주도의 남녀 성비는 0.93으로, 전국 평균인 0.99보다 낮습니다. 이는 100명의 여성이 있.. 2024. 1. 9.
VAT 별도는 무슨 뜻일까? (VAT 란, 부가가치세 별도란?) VAT (Value Added Tax) 는 부가가치세를 말합니다."VAT 별도"는 부가가치세가 상품 가격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표시된 가격은 상품 자체의 순수 가격이며, 이 금액에 추가로 부가가치세가 부과됩니다. 부가가치세(VAT)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판매 가격 중 일부를 정부가 세금으로 징수하는 제도입니다.한국의 경우 일반 부가가치세율은 10%이며, 일부 특수 항목은 감면된 세율이 적용됩니다. VAT 별도로 표시된 상품을 구매할 때:표시된 가격에 해당 세율의 부가가치세를 더해야 최종 결제 금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상품 가격이 11,000원이고 부가가치세율이 10%라면, VAT 별도로 표시된 경우 표시된 가격은 10,000원이며, 결제 시에는 (10,000원 x 1.. 2024. 1. 9.
겨울철엔 왜 어두운 색상의 옷을 많이 입을까? 겨울철에 어두운색상의 옷을 많이 입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째, 보온성 때문입니다. 어두운색은 빛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햇빛이 강한 여름철에는 오히려 더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겨울철에는 햇빛이 약하기 때문에, 어두운색 옷을 입으면 햇빛을 흡수하여 체온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둘째, 패션 때문입니다. 어두운색은 깔끔하고 세련된 이미지를 연출하기에 적합합니다. 또한, 밝은색에 비해 얼룩이나 먼지가 잘 티가 나지 않아 실용적입니다. 따라서, 겨울철에는 어두운색 옷을 입는 것이 보온성과 패션 두 가지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물론, 겨울철에 어두운색 옷을 입는 것이 항상 정답은 아닙니다. 눈이 많이 내리는 날이나, 겨울철 야외 활동을 많이 하는 경우에는 밝은색 옷을.. 2024. 1. 8.
'강남' 지역명은 무슨 뜻일까? (강남 이름 유래, 강남 지역명 유래) 우리나라 강남 지역명은 크게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한강 이남 지역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강남은 한강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의미로 해석됩니다. 두 번째는 서울특별시의 한강 이남 지역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강남은 서울특별시의 25개 자치구 중 4개 구(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강동구)를 포함하는 지역입니다. 이러한 의미로 해석되는 경우가 더 일반적입니다. 강남 지역명은 본래 영동으로 불렸습니다. 영동은 영등포의 동쪽이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입니다. 강남이 한강 이남에 위치하고 있지만, 강북을 중심으로 개발되었던 서울의 역사에서 가장 최근에 서울로 편입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1960년대 이후 강남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강남 지역은 서울의 중심지.. 2024. 1. 8.